JavaScript
[udemy] 한입 리액트 : 형변환, 연산자, 조건문, 함수
화영강
2022. 10. 18. 21:35
한입 크기로 잘라먹는 리액트 : javascript 기본
형변환
let a = 12;
let b = "2";
console.log(a * b);
// 변수 a는 숫자형, b는 문자형이지만 둘을 곱하면
// 문자형이 숫자형으로 자동 형변환되어 숫자 2가 된다.
console.log(a + b);
// 122
// 하지만 둘을 곱할 경우 변수 a가 문자로 자동형변환되어
// 값이 122가 되는데
// 위처럼 변수 b가 숫자로 형변환되게 하려면
console.log(a + parseInt(b));
// 14
// 변수 B를 명시적 형변환을 하면 된다.
// parseInt(변수) : 문자형 변수를 숫자로 형변환 시켜줌
비교연산자(==, ===)
let a = 1 == 1;
console.log(a);
// true
// 비교연산자 == 은 값만 비교하고
let b = 1 === "1";
console.log(b);
// false
// ===은 자료형까지 비교하므로 false가 출력됨
null병합 연산자
let a;
//변수선언만 하고 정의는 하지 않음(undefined)
a = a ?? 10;
//연산자 ??는 연산자 양쪽의 값에서 undefined가 아닌 값을 출력
console.log(a);
//10
switch문
조건을 체크 할 때는 if ~else를 사용하지만 처리해야할 명령어들이 많을 때는 switch문을 사용한다.
let country = "uk";
switch (country) {
case "ko":
console.log("한국");
break;
case "jp":
console.log("일본");
break;
case "cn":
console.log("중국");
break;
case "uk":
console.log("영국");
break;
default:
console.log("그 외");
break;
}
함수
function getArea(width, height) {
let area = width * height;
return area;
//함수는 똑같은 연산을 여러번 처리하기 편리하게 하며,
//매개변수를 넣어서 다른 값으로 함수를 수행할 수 있다.
}
getArea(5, 10);
//console.log(area);
//area는 지역변수로 함수 밖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.
//are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역변수로 바꿔야 한다.
let a = getArea(5, 20);
console.log(a);
//함수를 호출하여 그 값을 변수 a에 저장할 수 있다.
//return area가 없다면 저장할 수 없다.